728x90 분류 전체보기71 20230327 - 엔진 - Navigation Navigation Agents - Name : 객체의 이름 - Radius : 객체의 크기 - Height : 객체의 높이 - Step Height : 올라갈수 있는 높이 - Max Slope : 올라갈 수 있는 경사도 Bake Agents와 비슷하지만 실제 맵에 갈 수 있는 곳 그려 Nav Mesh Obstacle - Curve : Nav Mehs에 영향을 줄지 선택하는 것 - Carve only Stationary : 선택하면 움직일때는 Bake하지 않음. 체크할시 연산이 많이 됨 미리 받아둔 오브젝트의 위치로 가게 되는 코드 using UnityEngine; using UnityEngine.AI; public class ChaseNavAgent : MonoBehaviour { [SerializeF.. 2023. 3. 29. UNITY - TimeMap - 기초 우선 이 포스팅에서 사용한 에셋은 아래에 있는 에셋이다. https://limezu.itch.io/modernoffice Modern Office - Revamped - RPG Tileset [16x16] by LimeZu Top-down tilesets to create your office and work areas limezu.itch.io 우선 스프라이트들을 유니티 Project창에 넣어준다. 이후 스프라이트를 선택한 후 Inspector에서 설정을 바꿔준다. Sprite Mode를 Multiple로 바꿔 한 사진에서 여러개로 쪼개서 여러장의 사진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Pixel Per Unit은 한 유닛에 몇개의 픽셀을 표시할건지 선택하는 것이다. 지금은 16으로 해주었지만 선택한 Spr.. 2023. 3. 22. 20230320 - 엔진 - Combo, Rolling 우선 AgentMovement에 SetRotation함수를 추가해주고, 매개 변수에 따라 보는 곳이 달라지도록 해주는 코드를 작성한다. public void SetRotation(Vector3 targetPos) { Vector3 dir = targetPos - transform.position; dir.y = 0; transform.rotation = Quaternion.LookRotation(dir); } 이후 AgentInput에서 Rolling시킬 키를 만들어준다 private void UpdateRollingInput() { if (Input.GetButtonDown("Jump")) { OnRollingKeyPress?.Invoke(); } } 이후 AttackState를 수정하여 Rolling.. 2023. 3. 21. 깃허브 구글 확장프로그램 추천 1. GitHub Repository Size GitHub Repository Size Automatically adds repository size to GitHub's repository summary chrome.google.com 이 확장 프로그램은 리포지터리의 파일 용량을 볼 수 있다. 2. GitHub Isometric Contributions GitHub Isometric Contributions Renders an isometric pixel view of GitHub contribution graphs. chrome.google.com 잔디라고 보이는 각자가 그날에 얼만큼 커밋, 풀리퀘 등을 볼 수 있는 것을 3D로 볼 수 있다. 3. File Icons for GitHub and Git.. 2023. 3. 16. 20230315 - 엔진 - RayCast, 애니메이션 우선 Animator창에서 Sub-State Machine을 만들어준다. Animator의 Layers와 비슷한 역할을 한다고 보면 되지만, 1개의 Layer에서 1개의 에니메이션만 실행이 된다고 생각해둬야한다. 약간 비슷한 것들 모아두고 관리 편하게 하는 용도로 쓰면 좋을거 같다. 이후 저번에 만들어둔 AgentAnimator에 아까 만든 Parameter에 대응하기 위해 추가해준다. private readonly int _attackHash = Animator.StringToHash("attack"); private readonly int _isAttackHash = Animator.StringToHash("is_attack"); public event Action OnAnimationEndTrigg.. 2023. 3. 16. 20230313 - 엔진 - 애니메이션, 인풋 바꿈 모델링의 리깅의 Animation Type을 설정해줄 수 있다. Lagacy은 말 그대로 예전에 쓰던 것이다. 가장 빠르기에 쓰기도 하지만 거의 안 쓴다. Generic은 거미나 사족보행 동물 등 이것저것에 쓰인다. 다만 모델링에 맞는 애니메이션이 필요하다. Humanoid은 말 그대로 인간형 모델링을 의미한다. 인간에게 필요한 모든 관절이 있어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은 애니메이션 Transition에 대한 설명이다. Has Exit Time 토글은 어느시점에서 나가게 하는 것을 킬 것인지 적용시키는 것이다. Exit Time은 특정 위치에서 나가게 하는 것이다. 0.6이면 이 애니메이션이 60% 실행된 후 애니메이션을 변경 시켜주는 것이다. Transition Duration은 애니메이션끼리 변경이 .. 2023. 3. 13. Fork을 사용해 협업 해보자 이 글은 저번에 작성한 글을 이어서 작성하는 것이니 그점 유의해주길 바란다. https://ddongyeop.tistory.com/17 Fork 사용법 정리 우선 아래 글을 참고하여 깃허브 리포지터리를 만들어준다. https://ddongyeop.tistory.com/11 GitHub 사이트에서 Repository 만들기 우선 GitHub 사이트로 이동한 후 로그인해준다. 이후 메인화면 기준 왼쪽에 ddongyeop.tistory.com 왼쪽에 있는 'Branches'를 우클릭하고, 'New Branch'누르고, 이름을 설정 한 후 'Create'를 해준다. 이 Branch는 예전에 작성한 GitHub DeskTop협업 글에서 써둔 것처럼 브랜치라는 것은 한 리포지터리에 작업 공간을 여러개로 나누는 것이.. 2023. 3. 12. Fork 사용법 정리 우선 아래 글을 참고하여 깃허브 리포지터리를 만들어준다. https://ddongyeop.tistory.com/11 GitHub 사이트에서 Repository 만들기 우선 GitHub 사이트로 이동한 후 로그인해준다. 이후 메인화면 기준 왼쪽에 있는 New을 클릭해준다. 그럼 이런 리포리터리에 정보를 담을 수 있는 칸이 나올 것이다. 우선 "Owner"부터 알아보자. 누가 ddongyeop.tistory.com 리포지터리를 만든 이후 아래 화면처럼 나왔다면 화살표로 표시 해둔거처럼 링크를 복사해주고, 아래 화면처럼 나왔다면 이 것처럼 링크를 복사해준다. 이후 File에 있는 Clone을 누르면 복사한 URL이 자동으로 들어간다. 그 이후 어디에 저장할지 위치를 잡아준 후 Clone하면 된다. 이후 Clo.. 2023. 3. 11. SourceTree을 사용하여 협업 해보자. 이 글은 저번에 작성한 글에 이어서 작성하는 것이니 참고해주길 바란다. https://ddongyeop.tistory.com/15 SourceTree 사용법 정리 우선 아래 글을 참고하여 깃허브 리포지터리를 만들어준다. https://ddongyeop.tistory.com/11 GitHub 사이트에서 Repository 만들기 우선 GitHub 사이트로 이동한 후 로그인해준다. 이후 메인화면 기준 왼쪽에 ddongyeop.tistory.com 우선 Branch라는 것을 만들어준다. 이건 예전에 작성한 GitHub DeskTop협업 글에서 써둔 것처럼 브랜치라는 것은 한 리포지터리에 작업 공간을 여러개로 나누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후 TEST_Branch가 선택된 상태에서 어떠한 변경 사항을 추가해.. 2023. 3. 11. SourceTree 사용법 정리 우선 아래 글을 참고하여 깃허브 리포지터리를 만들어준다. https://ddongyeop.tistory.com/11 GitHub 사이트에서 Repository 만들기 우선 GitHub 사이트로 이동한 후 로그인해준다. 이후 메인화면 기준 왼쪽에 있는 New을 클릭해준다. 그럼 이런 리포리터리에 정보를 담을 수 있는 칸이 나올 것이다. 우선 "Owner"부터 알아보자. 누가 ddongyeop.tistory.com 리포지터리를 만든 이후 아래 화면처럼 나왔다면 화살표로 표시 해둔거처럼 링크를 복사해주고, 아래 화면처럼 나왔다면 이 것처럼 링크를 복사해준다. 그후 소스트리로 가서 깃허브 리포지터리를 컴퓨터 파일로 Clone해준다. URL을 넣는 곳에 아까 복사해둔 링크를 붙여넣어주고, Clone을 받아올 위치.. 2023. 3. 11. GitHub Desktop을 사용하여 협업 해보자 저번에 써둔 GitHub Desktop 글을 이어서 적는 것이니 참고하길 바란다. https://ddongyeop.tistory.com/12 GitHub Desktop 사용법 정리 우선 아래 글을 참고하여 리포지터리를 만들어준다. https://ddongyeop.tistory.com/11 GitHub 사이트에서 Repository 만들기 우선 GitHub 사이트로 이동한 후 로그인해준다. 이후 메인화면 기준 왼쪽에 있는 New ddongyeop.tistory.com 그후 Branch라는걸 생성 후 Push해준다. 이 브랜치라는 것은 한 리포지터리에 작업 공간을 여러개로 나누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후 깃허브 사이트에서 보면 아까 만들어둔 "TEST_Branch라는 것이 생긴 것을 볼 수 있다. Gi.. 2023. 3. 10. 20230310 - 게임프로그래밍 - 난수 1. 난수 발생 만들기 - 난수의 필요성 = 게임은 항상 상대가 있어야 한다. 그 상대는 적이 될 수도 있고, 어떠한 목표가 될 수도 있다. = 컴퓨터 판단의 기본이 되기 떄문이다. - 난수 생성 함수 1) rnad()함수 = srand()로 인해 생성된 값을 바탕으로 난수를 생성하는 함수이다. = 생성되는 난수의 범위를 지정하는 방법 : rand() % (마지막 값 - 시작 값 + 1) + 시작 값 2) srand() 함수 = 호출할 때 전달 받은 인자를 기반으로 난수를 초기화하는 함수이다. = 정해진 순서가 안 나오도록 여러 개 만들어 매번 다른 난수표를 읽도록 만듦. 이 난수표를 선택하는 동작을 시드(Seed)라고 한다. = 사용할때 srand((unsigbed int) time(NULL); 이런식.. 2023. 3. 10. 이전 1 2 3 4 5 6 다음 728x90